+

“The subjectivity of people’s thoughts, views, and perspectives is what differentiates humans from robots. However, this unique feature can be threatened if bodily movement is restricted. Various embodied cognition studies confirm that bodily movement affects one’s reasoning. This suggests that autonomous bodily movement encourages subjectivity and pluralism, thereby demonstrating how corporeal restrictions can effectively control one’s thinking and eliminate individuality. This text investigates how the restriction of movement is used to coerce obedience in social settings, particularly in South Korean culture, and how socially constructed norms serve as an obstacle to genuine bodily expression. Based on insight gained from several empirical examples, I suggest the adoption of a stance that necessitates the conscious questioning, reexamination and exploration of material and immaterial matters both bodily and mentally to encourage people to form their own meanings and maintain their individuality.”

“The brain is not the only organ that thinks and feels as the body does too. We often believe that the brain acts as a supreme commander that processes information and makes a judg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other body parts, which may be deemed “secretaries.” However, the sensory organs themselves independently contribute to one’s “thinking.” Since the cognitive interference of one’s senses is something we are barely cognizant of, we often downplay their contributions to our thinking and judgment. In addition to those which are relatively known, such as visual, auditory, tactile, gustatory, and olfactory senses, there are many more that we are unfamiliar with. All these human senses, including our proprioceptors, sense of movement, and body position,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reasoning and forming a judgement. Therefore “moving and posing differently” can perhaps be seen as a means of “thinking differentl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a question that naturally arises is: what happens if one is forced not to move or to move in the same way as others?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invisible forces that delimit physical movement and how such restrictions affect autonomous thinking and emotional expression.”

“I emphasize the need to adopt an attitude that involves questioning, reexamining and exploring material and immaterial matters both bodily and mentally.”


졸업한 지 2년 만에 졸업 논문을 다시 읽어 봤다. 우리의 몸의 움직임을 통제하여 우리의 정신을 조정하려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있고, 그 억압으로부터 해방되기 위해 우리는 몸을 움직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군대의 제식훈련, 젓가락 예절, 유아기 교육, 한국의 조직 문화를 움직임의 제약을 통한 정신 통제의 예시로 들었고, 등산, 무용, 볼더링, 그리고 몇 가지의 공간 예술 작품을 예로 움직임을 통한 사고의 해방의 예를 들었다. 이 때문에 제목을 ‘Move, To Move’로 지었는데, 앞에 ‘Move’는 육체적인 움직임, 사지의 움직임을 뜻했고 뒤에 ‘Move’는 무브먼트, 사회적 운동, 저항을 뜻했다.

우선, 몸과 정신은 한쪽에서 명령하고 한쪽에서 순응하는 일방통행이 아닌 쌍방통행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연구 실험을 대거 수집했고, 그것을 통해 우리가 객관적 판단이라고 생각하는 많은 것들 — 사물의 무게, 언덕의 경사, 방의 온도 등 — 조차도 감정과 육체적 상태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주관적인 판단인 것을 증명, 또한 그것은 우리에게 익숙한 시각, 후각, 청각, 촉각, 미각의 오감뿐만 아니라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ve, 몸의 각 부분의 위치, 운동의 상태, 몸에 가해지는 저항, 중량을 감지하는 감각)에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강조했다. 사물을 이해, 판단 하는 데에 뇌뿐만 아니라 몸 전체가 사용된다는 사실을 전제로, 몸의 움직임이 통제되면 생각이 통제될 수 있다는 논리를 펼쳤다.

지금 봐도 재밌는 실험들을 파일 속에서 썩히기 아까워 이곳에 모아본다.


Bhalla M, Proffitt DR. Visual-motor recalibration in geographical slant percep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999);25:1076–1096. 

의지할 수 있고 자신을 지지해 주는 사람들을 생각한 실험군은 본인이 싫어하거나 중립적인 사람을 생각한 실험군보다 앞에 있는 언덕의 경사도를 완만하게 평가했다.

등산하다가 너무 막막할 때는 부랄친구를 생각하자.


Eun Hee Lee and Simone Schnall, “The Influence of Social Power on Weight Percep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43, no. 4 (2014): 1719.

과거 많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의지하고, 사회적으로 힘이 있던 시간을 생각한 실험군은 과거 사회적으로 나약했던 시간, 상황속에서도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시간을 생각한 실험군보다 책이 들어있는 박스의 무게를 가볍게 평가했다.

무거운 것을 들 때는 부랄친구를 생각하자.


Chen-Bo Zhong and Geoffrey J. Leonardelli, “Cold and Lonely: Does Social Exclusion Literally Feel Cold?” Psychological Science 19, no. 9 (2008): 838.

과거 사회적으로 배척된 경험을 기억한 실험군은 사회적으로 수용된 경험을 기억한 실험군보다 방의 온도를 낮게 추정했다.

과거 사회적으로 배척된 경험을 기억한 실험군은 사회적으로 수용된 경험을 기억한 실험군보다 따뜻한 물과 음식에 대한 욕구가 더 증대되었다.

추울 때는 인싸가 되는 상상을 하자.


Kendall J. Eskine, Natalie A. Kacinik, and Jesse J. Prinz, “A Bad Taste in the Mouth: Gustatory Disgust Influences Moral Judgment,” Psychological Science 22, no. 3 (2011): 295.

Simone Schnall et al., “Disgust as Embodied Moral Judg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4, no. 8 (2008): 1096.

역겨운 냄새를 맡거나, 역겨운 맛을 보거나, 더러운 책상에 앉거나, 혐오를 조장하는 영상을 청취한 실험군은 도덕적 판단에 더욱 엄격한 기준을 가지게 됐다.

법정에서 판사의 법대를 깔끔하게 치우고 라벤더 디퓨저를 가져다 놓고 달콤한 솜사탕을 입에 물리고, 6시 내고양 볏가리마을 편을 시청 후 판결하도록 하면 조금 더 유한 판결을 기대할 수 있겠다.


Simone Schnall, Jennifer Benton, and Sophie Harvey, “With a Clean Conscience,” Psychological Science 19, no. 12 (2008): 1219.

혐오를 경험한 후 손을 씻으면, 특정 혐오 행동의 도덕성에 대해서 더 유하게 평가한다.

누군가를 용서하고 싶을 땐 손을 씻자.


Simone Schnall, Jonathan R. Zadra, and Dennis R. Proffitt, “Direct Evidence for the Economy of Action: Glucose and the Perception of Geographical Slant,” Perception 39, no. 4 (2010): 464-82.

포도당이 함유된 음료(에너지를 보충하는)를 섭취한 실험군은, 제로 칼로리(에너지가 없는) 음료를 섭취한 실험군보다 언덕의 경사를 더 완만하게 평가했다.

장엄한 산의 경관을 기대했는데 실망스럽다면 팔벌렸다뛰기 100회 실시하자.


Jane L. Risen and Clayton R. Critcher, “Visceral Fit: While in a Visceral State, Associated States of the World Seem More Like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0, no. 5 (2011): 777.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 온난화에 대한 믿음을 실외에서 평가한 결과, 실외 온도가 높을수록 지구 온난화에 대한 믿음이 강했다.

지구 온난화 불신론자는, 24시 황토 불가마 사우나에서 교육시키자.


Nils B. Jostmann, et al. “Weight as an Embodiment of Importance,” Psychological Science 20, no. 9 (2009): 1169.

참가자들은 무겁거나 가벼운 클립보드를 들고 무언가의 중요도를 평가했다. 무거운 클립보드를 들은 실험군은 금전적 가치를 더욱 높게 평가했고(실험1), 공평한 의사 결정 절차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고(실험2), 더욱 신중하게 생각했으며, 판단 간의 일관성이 높아지고(실험3), 강한 주장에 대한 동의 평가와 약한 주장에 대한 동의 평가가 더 극단적으로 나뉘었다(실험4).

중요한 의사 결정은 아령 들고 하자.


Pablo Briñol and Richard E. Petty, “Overt Head Movements and Persuasion: A Self-Validation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no. 6 (2003): 1123.

실험자에게 고개를 끄덕이거나 저으면서 설득하는 메시지를 듣게 했다. 의견 피력이 강한 메시지를 들을 때는 고개를 끄덕일 때 더 잘 설득되었고, 의견 피력이 약한 메시지를 들을 때에는 반대 결과가 나타났다 (머리를 움직이는 것이 자기 생각에 대한 자신감을 강화하거나 약화한다).

발표하기 전 헤드뱅잉 한번하고 들어가자.


Jens Förster, “How Body Feedback Influences Consumers’ Evaluation of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4, no. 4 (2004): 416.

호감도가 높은 제품을 평가할 때 팔을 굽히거나 머리를 끄덕이면 그 제품들에 대해 더 호감을 가지는 반면, 부정적으로 평가된 제품에 대해 같은 동작을 할 때는 그러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호감도가 낮은 제품을 평가할 때 팔을 펴거나 머리를 흔들면 그 제품을 더 부정적으로 느끼는 반면, 호감도가 높은 제품에 대해 같은 동작을 할 때는 그러한 변화가 없었다.

영업맨들이여, 고객이 거의 다 넘어왔다 싶으면 팔짱을 끼고 고개를 끄덕이게 하라.


Tanmay Randhavane et al., “Identifying Emotions From Walking Using Affective and Deep Features,” Cornell University, January 9, 2020, https://arxiv.org/pdf/1906.11884.pdf.

비디오에서 사람이 걷는 걸음걸이로 감정 상태를 행복, 중립, 슬픔으로 나누어 파악하는 알고리즘을 개발, 80.07%의 정확도를 보였다.

여자친구의 속마음을 모르겠다면, 걸음걸이를 찍자.